기아 EV5, 신차 구입의향 1위…소비자 ‘가장 현실적인 전기 SUV’로 평가
||2025.10.29
||2025.10.29
● 컨슈머인사이트 조사에서 29개 신차 중 유일하게 구입의향 20%대 기록
● 출시 전후 6개월 조사 기준, 현대차·기아 전기차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치
● 50대·40대 비중이 높고 가족용 SUV로 인식 강화
● 가격 부담과 중국산 배터리 탑재 논란이 향후 변수
 
 
     기아의 전기 SUV EV5가 국내 소비자 조사에서 신차 구입의향 1위를 차지했다. 컨슈머인사이트의 ‘AIMM(신차 초기시장 모니터링)’ 조사 결과, EV5는 29개 신차 중 유일하게 20%대 구입의향을 기록하며, 기아 전기차 라인업 중에서도 가장 높은 관심을 얻었다.
EV5는 출시 전인 7월 2주 조사에서 13%로 출발해 9월 출시 직후 20%를 넘어섰다. 이후 최고치 23%를 기록한 뒤 소폭 조정을 거쳤지만, 여전히 경쟁 모델 대비 약 5%포인트 이상 높은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출시 직후 일시적 반짝 상승이 아닌, 일정한 소비자 호응이 지속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패밀리 전기 SUV로 자리매김
EV5는 현대차그룹이 순차적으로 내놓은 중형 이하 전기차 중에서도 가장 높은 구입의향을 기록했다. 소형 EV3와 준중형 세단 EV4보다 높은 관심을 받았으며, 같은 시기 출시된 수소전기차 넥쏘보다도 우세했다.
 
 
     EV5의 강점은 실용적인 패밀리 전기 SUV라는 점이다. 응답자들은 구입 의향 이유로 ‘디자인’, ‘가성비’, ‘공간 활용성’을 꼽았다. 한 소비자는 “현실적인 선택지”라고 평가했는데, 이는 EV5의 포지셔닝을 정확히 보여주는 한 문장으로 읽힌다.
연령별 구입의향에서는 50대(37%)와 40대(36%)가 가장 많았으며, 60대가 18%, 30대 이하가 9%로 나타났다. 패밀리카 수요가 집중된 세대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EV5가 가족 단위 구매층을 중심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가격과 배터리, 향후 시장 성패의 핵심 변수
국내 판매가는 세제혜택 적용 후 4,855만 원부터 5,340만 원까지다. 준중형 SUV라는 점을 고려하면 일부 소비자에게 가격 부담이 작지 않다. 여기에 중국 CATL 배터리 탑재로 인한 품질 및 안전성 우려도 존재한다.
 
 
     이 두 가지 요인은 향후 EV5의 판매 추세를 좌우할 핵심 변수로 지목된다. 그러나 실용형 전기차 시장이 확대되는 흐름 속에서 EV5가 ‘프리미엄과 대중성의 경계’를 잡은 모델로 평가받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전기차 시장의 무게중심, 프리미엄에서 실용형으로 이동
EV5의 사례는 전기차 시장이 프리미엄 중심에서 실용형 중심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기아는 EV3, EV4, EV5, EV9을 잇는 전기 SUV 풀라인업을 완성하며 세그먼트 간 간극을 최소화하고 있다.
소형은 EV3, 중형은 EV5, 프리미엄은 EV9으로 나뉘는 기아의 전동화 전략 속에서 EV5는 실질적 주력 모델로 부상했다. 공간 활용성, 디자인, 합리적 가격이라는 세 요소를 결합한 EV5는 기아 전동화의 ‘대중 확산’을 상징하는 모델로 자리잡고 있다.
글 / 원선웅 (글로벌오토뉴스 기자)
#기아EV5 #전기SUV #기아전기차 #EV5판매 #전기차구입의향 #컨슈머인사이트 #전기차시장전망 #CATL배터리
 전기차 시대, 람보르기니 CEO가 내린 파격 결론은? [원선웅의 인사이트]
  
      전기차 시대, 람보르기니 CEO가 내린 파격 결론은? [원선웅의 인사이트]
       전기차 시대가 본격화되면서 슈퍼카 브랜드들은 선택의 기로에 섰다. 순수 전기차로의 전환이냐, 내연기관...
blog.naver.com
 F1 멕시코 GP 리뷰: 노리스의 완승, 흔들린 피아스트리
  
      F1 멕시코 GP 리뷰: 노리스의 완승, 흔들린 피아스트리
       ● 랜도 노리스, 멕시코 GP 압승으로 시즌 6승 달성 및 챔피언십 리드 탈환 ● 피아스트리, 두 경기 연속...
blog.naver.com
 리튬이온 넘는 전고체 배터리, 글로벌 완성차가 뛰어드는 이유
  
      리튬이온 넘는 전고체 배터리, 글로벌 완성차가 뛰어드는 이유
       ● 전고체 배터리, 리튬이온 한계 극복할 차세대 기술로 부상 ● 2030년 이후 자동차 적용 현실화 전망 ● ...
blog.naver.com
 1
1 2
2 3
3 4
4 5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