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이사회, 머스크에 1400조원대 성과 보수 제시
||2025.09.07
||2025.09.07
세계 최고 부자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에게 최대 1조달러(약 1400조원)에 달하는 주식을 지급하는 테슬라의 새 보상안이 공개됐다.
미국 현지 언론에 따르면 6일(현지시각) 테슬라 이사회는 금융당국에 제출한 주주총회 위임장 서류를 통해 머스크 CEO에게 향후 지급할 성과 보수 제안 내용을 공개했다. 이 안건은 오는 11월 6일 테슬라 연례 주총에서 투표에 부쳐진다.
이 보상안은 테슬라 전체 보통주(조정된 수치)의 12%에 해당하는 4억2000만여주를 2035년까지 10년간 12단계에 걸쳐 머스크에게 지급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테슬라 서류에는 적시되지 않았지만, 머스크가 보상 조건인 주가·실적 목표치를 모두 달성해 주식을 모두 지급받을 경우 그 가치는 총 1조달러 안팎이 될 것으로 미 언론은 전망했다.
머스크는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억만장자를 뛰어넘어 ‘조만장자’(Trillionaire) CEO가 될 수 있다고 미 언론은 보도했다. 이번 보상안이 실행되면 테슬라가 올해 재무제표에 CEO 보수로 보고하는 금액만 해도 막대한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테슬라 이사회는 회계 기준상 신규 주식 보상 비용(잠정 합계 공정가치 추정치)이 약 880억달러에 달한다고 밝혔다.
기업 보수 분석기업 이퀼라의 코트니 유 연구책임자는 “지난 8월에 발표된 주식 보상 200억달러 이상 금액과 합치면 테슬라는 머스크의 2025년 총 보수로 약 1140억달러(약 158조4000억원)를 보고할 수 있다”며 “이는 역대 최고 수준의 보상 패키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법원 판결로 무효화해 현재 법정 다툼 중인 테슬라의 2018년 머스크 보상 패키지(당시 회계상 가치 23억달러)와 비교해도 수십 배에 달한다.
미 언론은 테슬라의 이번 보상안이 테슬라 주가를 크게 끌어올리는 조건으로 설계돼 주주들에게는 인기를 얻을 것으로 전망했다.
머스크가 보상을 받으려면 첫 단계로 테슬라 시총 2조달러를 달성한 뒤 단계별 목표치를 넘고 최종적으로 시총 8조5000억달러에 도달해야 한다.
머스크는 단계별로 받게 되는 주식의 일부를 현금화하려면 최소 7년 반 동안, 주식 전체를 받으려면 10년 이상 테슬라에 재직해야 한다.
머스크는 주식 취득 후 수년간 해당 주식을 매각할 수 없지만, 주총에서는 즉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어 회사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다. 머스크의 지분율은 현재 13%에서 향후 보상 주식 취득으로 최대 29%까지 높아지게 된다고 미 언론은 전했다.
머스크는 지난해 1월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25%의 의결권(지분) 없이 테슬라를 AI(인공지능) 및 로봇 공학 분야 리더로 성장시키는 것은 마음이 불편하다”며 이 정도의 지분을 갖지 못한다면 테슬라를 떠날 수 있다고 위협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