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美 관세에 영업이익 15.8%↓…매출은 역대 최대
||2025.07.24
||2025.07.24
현대자동차가 미국 관세 영향이 본격화된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두 자릿수 감소했다. 다만, 하이브리드차를 중심으로 한 판매 확대를 바탕으로 매출은 역대 분기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현대차는 24일 2분기 영업이익이 3조601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8% 감소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률은 미국 관세에 따른 인센티브 증가와 투자 확대 추세에도 우호적인 환율 효과로 7.5%를 기록했다.
2분기 매출은 48조267억원으로 분기 최대 매출을 기록한 전년 동기 대비 7.3% 증가했다. 역대 최대 수준의 하이브리드차 판매와 금융 부문 실적 개선 등이 매출 증가를 견인했다.
현대차는 “2분기 국내와 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 판매량 증대로 외형적 성장이 가능했지만, 미국 관세 영향이 본격화됐다”며 “경쟁 심화에 따른 글로벌 인센티브와 판매 비용 증가 등 원인으로 손익이 둔화됐다”고 설명했다.
현대차는 2분기 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0.8% 증가한 106만5836대를 판매했다. 국내에서는 1.5% 늘어난 18만8540대, 해외에서는 0.7% 증가한 87만7296대를 판매했다.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량(상용 포함)은 유럽 중심 전기차(EV) 판매 비중 확대, 하이브리드차 제품군 강화에 따른 판매 견인 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36.4% 증가한 26만2126대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전기차는 7만8802대, 하이브리드차는 16만8703대로 집계됐다.
현대차는 올해 하반기 관세와 같은 통상 환경 변동 등이 경영 활동에 리스크 요인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신흥 시장 중심 판매 둔화가 이어지는 등 예측하기 어려운 경영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에서도 현대차는 연초 발표한 올해 목표치를 잠정 유지할 계획”이라며 “특히 내달 1일에 발표될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 방향성을 기반으로 한 전략 고도화로 체계적인 대응책을 적극 실행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현대차는 하반기 미국 관세 정책 방향과 관련 “개별 기업으로서는 어려움이 있다”면서도 “경쟁사 등 시장 상황을 고려해 가격 전략, 탄력적 인센티브, 부품 소싱 통해 본격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8월 1일 이후 관세 부과가 현실화되는 상황에서 시장과 커뮤니케이션 하겠다”며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을 비롯 그룹 경영진과 손실 방어를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시장 불확실성에 대해 철저하게 대응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현대차는 지난해 발표한 밸류업 프로그램에 따라 2분기 주당 배당금을 전년 동기(2000원) 대비 25% 오른 2500원으로 설정했다.
정치연 기자 chiye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