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 산업계 “국내 생산 촉진 위해 세제 지원해야”
||2025.07.24
||2025.07.24
미국발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국내 자동차 수요 감소 등 복합적 위기 상황에 직면한 한국 자동차 산업계의 경쟁력을 위해 세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KAIA)는 24일 서울 서초구 자동차회관에서 제43회 자동차모빌리티산업발전포럼을 열고 '생산 경쟁력 제고를 통한 미래차 전환 촉진 방안'을 논의했다.
강남훈 KAIA 회장은 개회사에서 “전체 수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 시장에 고율 관세가 부과돼 상반기 대미 수출은 16.5%, 전기차 수출은 88% 감소했다”며 “유럽이 보호무역을 강화하고 중국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의 60% 이상을 점유하며 우리 산업을 위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내수 부진, 관세 부담, 투자 위축 등 복합 위기 상황에 적극적이고 전방위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며 “국내 생산 촉진 세제지원 도입이 시급하며, 미래차 국가전략 기술의 세액공제 확대도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주제 발표에서 “전장화와 디지털화, 인공지능 융합이라는 '삼중 전환'이 동시에 일어나는 상황에서 미·중 기술 패권 경쟁 심화와 보호무역주의 확산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 자동차 산업에 직접적 위협이 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해 국내 완성차 생산량은 413만대, 해외는 365만대로 최근 미국 현지생산 증가로 인한 공동화 현상도 우려된다고 이 연구위원은 지적했다.
정만기 한국산업연합포럼 회장은 “한국은 전동화 기술은 뛰어나지만, 자율주행 기술 부진에 대한 대응이 시급하다”며 “공급망 관점에서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 심화가 주요 위험 요인”이라고 손꼽았다.
송준영 현대모비스 팀장은 연구개발(R&D) 분야 인공지능 전환(AX) 사례를 소개하며 “R&D 비용을 50% 이상 절감하고 역량을 획기적으로 혁신해 미래 모빌리티 시장에서의 경쟁 우위를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정치연 기자 chiye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