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곁 ‘유령 충전기’…전석훈 도의원 “전기차보다 생명이 먼저”
||2025.07.24
||2025.07.24
이는 외부 차량 유입에 따른 학생 안전사고 우려로 학교 측이 충전기 개방을 꺼리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전석훈 경기도의원(더불어민주당, 성남3)이 경기도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11개 시도교육청 소속 학교에 설치된 완속충전기 1467대의 월 평균 이용 횟수는 2회, 급속충전기 200대는 3.4회에 그쳤다. 이는 전체 17개 교육청 가운데 부산, 인천 등 6곳을 제외한 1747개 학교를 대상으로 이뤄진 조사 결과다.
이 중 충전시설 설치를 완료한 877개 학교 가운데 65%만이 이를 개방 중이며, 14%는 설치 후 단 한 번도 운영하지 않고 있다. 개방 기피 사유로는 ‘학생 안전 우려’가 63%로 가장 많았고, 유지관리 인력 부족과 관용차 전용 등도 주요 이유로 꼽혔다.
경기도의회와 교육청이 최근 공동 점검한 결과, 일부 학교에서는 2년 전 설치된 충전기가 한 번도 사용되지 않았고, 감전 위험 때문에 충전선을 아예 제거한 사례도 있었다.
이처럼 학교 현장에서의 부작용이 속출하자 서울시교육청과 제주도교육청은 학교 내 전기차 충전기 의무 설치 조항을 제외하기 위한 조례 개정을 추진 중이다. 대구·경남·부산 등 일부 교육청도 기존 민간운영 계약 해지를 검토하고 있다.
전석훈 의원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확대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학교는 무엇보다 학생 안전이 우선”이라며 “학생 보호를 최우선에 두는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전 의원은 6월, 경기도내 초중고 학교에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를 제한하는 조례안을 발의했지만, 상임위원회에서 보류된 상태다. 반면, 경기도교육청은 해당 조례안이 폐기될 경우 내년부터 도내 850개 학교에 충전시설을 확대 설치하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