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 협상 긴장 고조…현대차그룹도 총력 지원
||2025.07.24
||2025.07.24
[서울=뉴시스]유희석 기자 = 한미 재무·통상 수장 간 '2+2 통상 협의'가 진행되는 가운데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
당초 25일로 예정됐던 협상은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의 긴급 일정으로 연기됐으나, 조만간 다시 열릴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상호 관세와 품목별 관세 인하를 강하게 요구하며,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 관세 완화를 최우선 과제로 삼을 방침이다.
현대차그룹도 글로벌 대관 조직을 중심으로 정부 협상 지원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이번 협상이 단순히 기업 이해를 넘어 국가 산업 경쟁력과 직결된 사안으로 판단해, 현지 동향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대응 체계를 가동 중이다.
특히 정부 협상 일정에 맞춰 일부 경영진이 워싱턴에 집결해 정부와 긴밀히 공조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현대차그룹은 트럼프 행정부와 정책 조율 능력을 높이기 위해 미국 정계 네트워크가 깊은 인사들을 전면 배치하고 있다.
4선 공화당 연방 하원의원 출신 드루 퍼거슨을 워싱턴 사무소장으로 영입해 대미 로비 역량을 강화했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대표이사 사장과 성 김 전 주한미국대사 등 미국 정세에 밝은 핵심 인사들도 협상 전략을 뒷받침한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도 지난 14일 이재명 대통령과 만나 관세 협상 전략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회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인연도 깊다. 지난 3월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나란히 서서 210억 달러(약 31조원) 규모의 대미 투자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앞서 미국과 일본이 일본산 자동차 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는 데 합의하면서, 한국 자동차 업계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미국 자동차 업계가 일본과의 협상을 "미국 산업과 노동자들에게 해로운 합의"라며 반발하는 가운데, 한국산 자동차 관세율에도 관심이 집중된다.
한국은 최소한 일본과 유사한 수준의 성과를 내지 못하면 가격 경쟁력 악화가 불가피하다.
자동차는 한국의 대미 수출 품목 중 최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이번 협상 결과는 국내 산업 전반에 상당한 파급 효과를 미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의 보호무역 기조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민관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현대차그룹의 대미 외교 네트워크가 협상에 주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