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도 “이게 최우선이다” … 전기차 놓고 ‘이것’에 사활 거는 이유
||2025.07.10
||2025.07.10
2030년까지 전기차 보급률 50%를 달성하겠다는 이재명 정부의 목표가 제시된 가운데, ‘안전’이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보급률을 끌어올리기 위해선 기술 개발뿐 아니라 소비자의 신뢰를 얻을 수 있는 전 주기 안전 관리 체계가 함께 갖춰져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재명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전기차 보급률을 5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내세우고 있다. 국내 자동차 연간 판매량의 절반인 약 90만 대를 전기차로 채우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지난해 전기차 판매량은 26만 대 수준에 머물렀고, 올해 1~5월 기준 내수 판매량도 7만1833대로 집계됐다. 보조금 정책 등으로 수치는 소폭 늘었지만, 하반기 보조금 소진 상황에 따라 증가세가 둔화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8일 제주에서 열린 ‘글로벌 e-모빌리티 네트워크 포럼’에서는 전기차 생태계의 지속 성장을 위한 다양한 논의가 오갔다.
박용선 국토교통부 자동차정책과장은 “정책 방향의 초점을 전기차 전 주기 안전 확보에 두고 있다”며 “제작부터 폐기까지 체계적인 관리와 현장 의견 반영을 통한 정책 설계로 실효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완성차 업계도 안전 강화를 최우선 과제로 보고 있다.
정창호 현대차·기아 기술연구소 배터리성능개발실장은 “배터리 셀 단위 연구부터 주행 중 모니터링 시스템까지 다층적인 안전망을 구축 중”이라며, 기술 차별화와 소비자 신뢰를 동시에 확보하겠다는 방향을 설명했다.
전기차 안전 관리 정책은 현재 제작과 운행 단계로 나뉘어 추진되고 있다. 정부는 올해 4만 대 규모로 배터리 이상 발생 시 소방 당국에 자동 알림이 가는 시스템을 시범 도입했으며, 내년에는 적용 대상을 10만 대 이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배터리 사전 인증제도 본격화된다. 올해부터 시행된 이 제도는 차량 출시 전에 안전 기준을 통과해야 하는 것으로, 내년부터 전면 적용된다.
또한 배터리관리시스템(BMS) 항목이 자동차 안전도 평가(KNCAP)에 포함돼 제작사의 자율적 안전 강화도 유도할 계획이다.
이종욱 한국기술교육대 교수는 “최근 기술은 화재 예방뿐 아니라 발생 이후 확산 방지까지 포함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며 “배터리 셀 구조 개선과 열 차단 기술 등도 활발히 연구 중”이라고 말했다.
포럼 참석자들은 전기차 산업이 단순한 보급을 넘어 산업 전반으로 확장되기 위해 범부처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