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영빈 우주청장 “화성 탐사 시기 앞당길 것…美 협력 TF 구성”
||2025.05.22
||2025.05.22
미국의 우주 정책 초점이 달에서 화성으로 옮겨감에 따라 우주항공청이 국제협력 등 선제적 대응을 위한 테스크포스(TF)를 조성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우주탐사 계획에도 변화가 있을 전망이다.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21일 경남 사천 임시청사에서 개청 100일 기념 기자간담회를 갖고 우주청의 지난 1년간 성과와 이 같은 내용의 앞으로의 계획을 발표했다.
우주청이 그동안 밝힌 우주탐사 로드맵은 2035년 달 탐사를 시작으로 2045년 화성 탐사를 계획하는 내용이다. 이에 따라 현재까지는 달 탐사에 대한 구체적 계획과 사업이 수립·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함께 기존 달 탐사에서 화성 탐사로 우주 정책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우주청은 미국과 화성 탐사 협력을 위한 TF 구성을 최근 완료한 상태다.
윤 청장은 “최근 미국은 화성 탐사를 위한 발사체(스타십)에 우리 탑재체를 실을 것인지를 우주청 측에 문의하기도 했다”며 “미국이 주도하는 우주탐사가 생각보다 우리 속도보다 빠른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동안 달과 화성 탐사를 단계적으로 생각해 왔으나 이를 투트랙으로 추진하는 부분에 대해서 고민 중”이라며 “국제협력으로 화성 탐사 기회가 앞당겨질 수 있다는 점에서 TF를 구성했다”고 덧붙였다.
윤 청장은 또 우주 경쟁력 확보 등을 위한 예산 확대 필요성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올해 우주청 예산은 9649억원으로 전년 대비 27% 증가한 수준이나 차세대발사체,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등 대형 개발사업을 고려하면 부족하다는 것이다.
윤 청장은 “우주청 출범 이후 우주항공 예산이 많이 증액됐다고는 하나 우주 선진국 대비 아직은 매우 적은 수준”이라며 “전체 예산 규모가 일본은 5배, 미국은 30배 수준으로 우리나라 또한 더 많은 예산 확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천=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